Home
조달/지원사업
컨설팅 프로세스
컨설팅 프로세스

기업 진단 및 과제 도출
• 기업 현황과 혁신 가능성 파악을 통해 방향을 설정하는 첫 단계
"기업의 기술력 및 제품 현황 분석"
기업의 보유 기술, 제품 경쟁력, 사업모델 등을 면밀히 분석
"혁신성 및 공공수요 적합성 진단"
공공시장 수요와의 연관성을 판단하여, 혁신제품 지정 가능성 진단
"혁신제품 지정 가능성 사전 평가"
기술 자료, 특허, 실적 등 사전 자료 확보 및 검토
"관련 데이터 수집 및 기업 니즈 파악"
내부 인터뷰 및 시장 조사 통해 기업의 니즈와 잠재 과제 도출
"이 단계는 단순한 기업 소개나 제품 나열이 아니라 이 기업이 왜 혁신제품으로 지정되어야 하는가를 정리하는 출발점입니다.
컨설턴트는 기업의 현재 역량과 정부의 정책 방향 사이의 접점을 찾는 데 집중합니다."

전략 방향 수립 및 목표 설정
• 공공조달 진입을 위한 전략과 실행 목표를 구체화
"기업 비전과 정부 정책 방향 정렬"
정부 정책(디지털·친환경·탄소중립 등)과 기업 기술의 연계 포인트 도출
"조달시장 진입 전략 구상"
조달 시장 및 관련 공공기관 분석 → 타겟 설정
"지원사업별 KPI 및 지정 목표 설정"
지원사업 연계 가능한 KPI 및 추진 목표 설정
"타겟 기관/수요처 도출"
지정 유형(우수조달제품, 혁신시제품 등) 선택 전략 수립
이 단계는 단순히 어떤 사업에 나갈 것인가 가 아니라 어떤 경로로 지정되고 조달시장에 들어갈 것인가를 정하는 전략 중심 단계입니다.
구체적인 목표(KPI)는 이후 신청서 작성과 실적 정리에서 핵심이 됩니다.

혁신제품 지정 전략 및 실행 계획 수립
• 실제 지정 신청을 위한 실행 전략과 로드맵 구축
"조달청 지정 요건 및 심사 항목 분석"
조달청, 조달등록기관, 심사 기준 파악 → 최적화된 준비
"기술자료, 수요확인서, 실적자료 준비"
수요기관 확보 및 수요확인서 전략 수립
"단계별 실증계획 및 조달 진입 로드맵 설계"
실증·테스트베드 연계 계획 수립
"관련 리스크 및 대응방안 설계"
지정 신청을 위한 기술자료, 제품소개서, 특허, 인증 등의 정리 및 보완
그리고 리스크(예: 자료 부족, 수요기관 미확보)에 대한 대응방안 마련
이 단계는 실질적인 "신청 준비"를 포함하며, 대부분 기업들이 가장 어려움을 겪는 부분입니다.
전문가의 지원 없이는 기술성 정리, 수요기관 확보, 행정절차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컨설팅의 전문성이 빛납니다.

신청 및 실행 지원
• 실행력을 높이고 기관과의 협업을 돕는 단계
"혁신제품 지정 신청서 작성 및 컨설팅"
혁신제품 지정 신청서, 증빙자료 작성 및 첨삭
"수요기관 연결 및 실증 기회 연계"
수요기관(공공·지자체 등)과 연결 및 공동 신청 유도
"조달청/중기부 등 기관 대응 및 행정 지원"
실증사업 신청, 제품 전시·홍보 등 실행 단계 지원
"실행과정 모니터링 및 현장 피드백 수렴"
신청 이후 결과 피드백 대응, 보완 요청 대응
이 단계는 서류 제출뿐 아니라 실증기관과의 소통, 제출 후 심사 대응까지 포함합니다.
실패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사전 시뮬레이션이나 모의 피칭도 함께 진행할 수 있습니다.

성과 측정 및 사후 관리
• 성과를 지속시키고 후속 확장을 준비하는 단계
"지정 이후 조달 등록 및 입찰 지원"
지정 후 공공조달 등록 연계(나라장터, 혁신장터 등)
"실증사업 후 판로 확대 전략 제안"
추가 실증 지원 및 마케팅 전략 수립
"연장 신청, 고도화 과제 연계 컨설팅"
조달 우선구매 대상 제품으로 확장 지원 및 차년도 고도화 사업 연계 제안
"성과 분석 및 보고서 작성 지원"
정량·정성적 성과 측정 및 정착 컨설팅
혁신제품 지정은 끝이 아니라, 시작입니다. 이 단계를 통해 공공시장에 자리 잡고 다음 단계(우수조달, 수출 연계 등)로 도약할 수 있도록 컨설팅이 이어집니다.
"요약 포인트"
단계 | 주요 질문 | 컨설팅의 역할 |
1단계 | 우리 제품이 혁신제품이 될 수 있을까? | 기술성과 제도 연계 가능성 진단 |
2단계 | 어떤 전략과 기관을 타겟으로 해야 할까? | 진입 전략 수립 및 목표 KPI 설계 |
3단계 | 어떻게 준비해야 성공적으로 지정될까? | 실질적 실행 로드맵 및 자료 정비 |
4단계 | 행정 절차와 실증은 어떻게 대응할까? | 신청서 작성, 실증 연계, 대응 지원 |
5단계 | 지정 후에 어떤 성과를 만들 수 있을까? | 조달 진입 및 후속 사업 확장 지원 |